숫자자료형
Integer(정수) / Int : 소수점이 없는 수
Floating Point / Float : 소수점이 있는 수 (정수 < 실수)
->10.0 은 소수점이 있는 수로 인지한다.
숫자연산자
일반적인 숫자 연산자들 (+,-)과 동일 -> 곱하기(*), 나누기( / ) , 제곱(**)
-> 나머지 연산자 ( % ) : 7 % 3 => 7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출력된다.
-> 정수나누기 연산자 ( // ) : 몫에서 정수만 출력하게 된다. 수를 나눈 후의 몫을 알고 싶을 때 활용하면 된다.
ex) 10//3 => 3이 출력된다. ( 원래 10을 3으로 나누면 3.xxx이다.)
type error의 발생
숫자자료형과 문자자료형을 연산하려 할 때 발생. 그러나 곱하기의 경우에는 문자열을 숫자만큼 반복해서 사용하게 되므로
이 때는 오류가 뜨지 않는다.
변수와 입력
변수(variable)
: 어떠한 데이터에 이름을 붙인 것.
변수에 선언된 데이터의 자료형에 따라서 다양한 연산도 가능하다.
ex) pi = 3.14
pi = pi + 10
( pi = 13.14)
=> 복합대입 연산자 : pi += 10 / pi -= 10 / *= 등, 다양한 연산자를 이렇게 복합 대입 연산자로 사용 가능하다.
input( ) 함수 : 입력 함수
-> input 함수를 쓰게 되면 함수 내의 문자열이 출력되고 그 뒤에 원하는 값을 입력 하도록 함. 그리고 입력이 됨.
따라서 해당 input 함수에 무엇이 입력되었는지 보려면 위와 같이 print 함수와 함께 쓴다면,
입력된 값이 무엇인지 출력되어 볼 수 있다.
-> input 함수는 문자열을 무조건 출력하게 된다. 즉, input에 100과 같이 숫자를 입력해도 문자열 처리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숫자자료형으로 쓰일려면 타입을 변경해 주어야 한다.
자료형 타입변환
정수타입 변환 : int( "자료형" )
-> 하지만 10.0 같이 소수점이 있는 자료형을 정수타입으로 변환하려 하면 오류가 난다.
소수점이 있는 자료를 숫자자료형으로 변환: float( "자료형" )
문자열 형태의 자료는 위의 숫자로 변환하는 타입 변환을 사용하면 에러가 난다.
즉 문자열 자료형이지만 형태는 숫자인 자료형만 변환 가능하다.
문자자료형으로 변환 : str( "자료형" )
-> 숫자나 다른 자료형을 문자 자료형으로 변환
'Programming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시작하기_조건문/boolean자료형 (0) | 2020.11.06 |
---|---|
파이썬시작하기_문자열기본함수 (0) | 2020.11.05 |
파이썬 시작하기_print()함수와 문자열 (0) | 2020.11.05 |
파이썬시작하기_기본용어 정리하기 (1) | 2020.11.02 |
파이썬시작하기_개발환경 설치하기 (1) | 2020.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