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HTTP 구조

HTTP 헤더와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HTTP 본문에는 실제로 통신과정에서 주고 받을 컨텐츠가 담겨져 있다. 

 

HTTP헤더는 HTTP메시지(요청/응답)와 본문에 대한 정보를 말해주고 있다. 이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실제로 중요하다. 해당 메시지가 제공하는 기능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가 정리된 요약본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헤더에 그 프로토콜에 불필요한 내용을 담으면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커져서 빠른 전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프로토콜을 설계할 때부터 꼭 필요한 내용만 담아야 하고, 모든 기능이 표현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 HTTP 헤더는 크게 세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1) General Header 

 

전송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보다는, 요청/응답이 이루어지는 날짜 및 시간등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가 포함된다. 

  • Date : 현재시간 (Sat, 23 Mat 2019 GMT)
  • Pragma : 캐시제어 (no-cache), HTTP/1.0에서 쓰던 것으로 HTTP/1.1에서는 Cache-Control이 쓰인다.
  • Cache-Control : 캐시 제어+ no-cache : 모든 캐시를 쓰기 전에 서버에 해당 캐시를 사용해도 되는지 확인하겠다.+ public : 공유 캐시에 저장해도 된다.+ max-age : 캐시의 유효시간을 명시하겠다.
  • + private : '브라우저' 같은 특정 사용자 환경에만 저장하겠다.
  • + must-revalidate : 만료된 캐시만 서버에 확인하겠다.
  • + no-store : 캐시를 저장하지 않겠다.
  • Transfer-Encoding : body 내용 자체 압축 방식 지정본문에 데이터 길이가 나와서 야금야금 브라우저가 해석해서 화면에 뿌려줄 때 이 기능을 사용한다.
  • 'chunked'면 본문의 내용이 동적으로 생성되어 길이를 모르기 때문에 나눠서 보낸다는 의미다.
  • Upgrade : 프로토콜 변경시 사용 ex) HTTP/2.0
  • Via : 중계(프록시)서버의 이름, 버전, 호스트명
  • Content-Encoding : 본문의 리소스 압축 방식 (transfer-encoding은 body 자체이므로 다름)
  • Content-type : 본문의 미디어 타입(MIME) ex) application/json, text/html
  • Content-Length : 본문의 길이
  • Content-language : 본문을 이해하는데 가장 적절한 언어 ex) ko
  • 한국사이트여도 본문을 이해하는데 영어가 제일 적절하면 영어로 지정된다.
  • Expires : 자원의 만료 일자
  • Allow : 사용이 가능한 HTTP 메소드 방식 ex) GET, HEAD, POST
  • Last-Modified : 최근에 수정된 날짜
  • ETag : 캐시 업데이트 정보를 위한 임의의 식별 숫자
  • Connection :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연결 방식 설정 HTTP/1.1은 kepp-alive 로 연결 유지하는게 디폴트.

 

2) Request/ Response Header

 

 A. Request Header는 웹브라우저가 웹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텍스트로 변환한 메시지들이다. 

 

*  request header form

  • Request Line : 어떤 웹서버로 접속(Host 부분)해서, 어떠한 방식(HTTP/1.1)으로, 어떠한 메소드(GET)를 통해 무엇을(/doc/test/.html) 요청했는지에 대한 메시지가 담겨있다.
  • Host : 요청하려는 서버 호스트 이름과 포트번호
  • User-agent :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정보 ex) Mozilla/4.0, Windows NT5.1
  • 이 정보를 통해서 서버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브라우저)에 맞는 최적의 데이터를 보내줄 수 있다.
  • Referer : 바로 직전에 머물렀던 웹 링크 주소(해당 요청을 할 수 있게된 페이지)
  • Accept : 클라이언트가 처리 가능한 미디어 타입 종류 나열 ex) */* - 모든 타입 처리 가능, application/json - json데이터 처리 가능.
  • Accept-charset : 클라이언트가 지원가능한 문자열 인코딩 방식
  • Accept-language : 클라이언트가 지원가능한 언어 나열
  • Accept-encoding : 클라이언트가 해석가능한 압축 방식 지정 ex) gzip, deflate
  • 압축이 되어있다면 content-length와 content-encoding으로 압축을 해제한다.
  • Content-location : 해당 개체의 실제 위치
  • Content-disposition : 응답 메세지를 브라우저가 어떻게 처리할지 알려줌. ex) inline, attachment; filename='jeong-pro.xlsx'
  • Content-Security-Policy : 다른 외부 파일을 불러오는 경우 차단할 리소스와 불러올 리소스 명시ex) default-src 'self' -> 자기 도메인에서만 가져옴
  • ex) default-src 'none' -> 외부파일은 가져올 수 없음
  • ex) default-src https -> https로만 파일을 가져옴
  • If-Modified-Since : 여기에 쓰여진 시간 이후로 변경된 리소스 취득. 페이지가 수정되었으면 최신 페이지로 교체하기 위해 사용된다.
  • Authorization : 인증 토큰을 서버로 보낼 때 쓰이는 헤더
  • Origin : 서버로 Post 요청을 보낼 때 요청이 어느 주소에서 시작되었는지 나타내는 값
  • 이 값으로 요청을 보낸 주소와 받는 주소가 다르면 CORS 에러가 난다.
  • Cookie : 쿠기 값 key-value로 표현된다. ex) attr1=value1; attr2=value2

 

 

* HTTP 메소드의 대표격인 GET과 POST 비교

 

A. GET

우선 GET 방식은 요청하는 데이터가 HTTP Request Message의 Header 부분의 url 에 담겨서 전송된다. 때문에 url 상에 ? 뒤에 데이터가 붙어 request 를 보내게 되는 것이다.(이것이 parameter) 이러한 방식은 url 이라는 공간에 담겨가기 때문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제한적이다. 또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가 그대로 url 에 노출되므로 GET방식은 적절하지 않다. (ex. password)

 

B. POST

POST 방식의 request 는 HTTP Message의 Body 부분에 데이터가 담겨서 전송된다. 때문에 바이너리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POST 방식으로 보내야 하는 것처럼 데이터 크기가 GET 방식보다 크고 보안면에서 낫다.(하지만 보안적인 측면에서는 암호화를 하지 않는 이상 고만고만하다.)

 

C. 실제 사용 예시

GET 은 가져오는 것이다.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준다거나 하는 용도이지 서버의 값이나 상태 등을 변경하지 않는다. SELECT 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POST 는 서버의 값이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서 또는 추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부수적인 차이점을 좀 더 살펴보자면 GET 방식의 요청은 브라우저에서 Caching(일종의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때문에 POST 방식으로 요청해야 할 것을 보내는 데이터의 크기가 작고 보안적인 문제가 없다는 이유로 GET 방식으로 요청한다면 기존에 caching 되었던 데이터가 응답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때문에 목적에 맞는 기술을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D. HEAD

정확히 GET과 같지만, 서버는 응답으로 엔터티 본문 반환없이 헤더만을 반환. 클라이언트는 리소스를 가져올 필요 없이 헤더만을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E. PUT

서버가 요청의 본문을 갖고 요청 URI의 이름대로 새 문서를 만들거나, 이미 URI가 존재한다면 요청 본문을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 수정 )

 

F. DELETE

서버에서 요청 URI 리소스를 삭제하도록 요청합니다. ( 삭제 ) 클라이언트는 항상 삭제된다고 생각하지만, 서버에서는 이 요청을 무시할 수도 있다.(Soft Delete의 경우)

 

G. TRACE

클라이언트와 목적지 서버 사이에 있는 모든 HTTP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응답 연쇄를 따라가면서 자신이 보낸 메시지의 이상 유무를 파악한다. 서버는 응답 메시지의 본문에 자신이 받은 요청메시지를 넣어 응답하며, 주로 진단을 위해 사용.

 

H. OPTIONS

서버에게 특정 리소스가 어떤 메소드를 지원하는지 물어볼 수 있습니다.

 

 

B. Response Header는 반대로 웹서버가 웹브라우저에 응답하는 콘텐츠가 들어가있는 메시지이다.

 

* response header form

: 웹브라우저가 요청한 메시지에 대해서 status 즉 성공했는지 여부(202, 400 등), 메시지, 그리고 요청한 응답 값들이 body에 담겨있다.

  • Location : 301, 302 상태코드일 떄만 볼 수 있는 헤더로 서버의 응답이 다른 곳에 있다고 알려주면서 해당 위치(URI)를 지정한다.
  • Server : 웹서버의 종류 ex) nginx
  • Age : max-age 시간내에서 얼마나 흘렀는지 초 단위로 알려주는 값
  • Referrer-policy : 서버 referrer 정책을 알려주는 값 ex) origin, no-referrer, unsafe-url
  • WWW-Authenticate :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자원을 요구할 시, 서버가 제공하는 인증 방식
  • Proxy-Authenticate : 요청한 서버가 프록시 서버인 경우 유저 인증을 위한 값

* 응답 상태코드

  • 100 - 109
    • 메시지 정보
  • 200 - 206
    • 요청 성공
  • 300 - 305
    • 리다이렉션
  • 400 - 415
    • 클라이언트 에러
  • 500 - 505
    • 서버에러

API 개발 시 올바른 상태코드를 응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요청 파라미터를 잘못 입력한 경우,  잘못된 파라미터로 인해 비즈니스 로직에서 에러가 발생했다고하여, 500 코드를 반환하면 안된다. 사용자가 잘못 입력한 경우이므로, 이 때는 403 코드를 반환해야 한다.

 

 

3. Entity header

실제 주고받는 컨텐츠와 관련된 http 본문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다. 

 

728x90

'SW Engineering >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Server vs WAS 이해하기  (0) 2021.01.25
What is HTTPS?  (0) 2021.01.17
What is HTTP?  (0) 2021.01.16
Django vs Flask / React  (0) 2021.01.04
소셜 로그인_네이티브 앱키/javascript키/Rest API키 차이점  (0) 2020.11.27

+ Recent posts